2025.05.01 (목)

  • 맑음동두천 26.0℃
  • 구름많음강릉 28.0℃
  • 구름많음서울 24.5℃
  • 맑음대전 25.8℃
  • 맑음대구 26.1℃
  • 맑음울산 22.5℃
  • 맑음광주 25.0℃
  • 구름조금부산 21.0℃
  • 맑음고창 25.3℃
  • 구름조금제주 18.9℃
  • 구름조금강화 22.5℃
  • 맑음보은 25.4℃
  • 맑음금산 26.8℃
  • 맑음강진군 22.8℃
  • 맑음경주시 28.3℃
  • 맑음거제 21.0℃
기상청 제공
검색창 열기

농림축산식품부, 2023년 국산밀 재배면적 전년 대비 40.5% 증가

'밀산업육성 기본계획' 시행(2021년~) 이후 3년내 122% 증가

 

미디어아워 기자 | 6월 29일 발표된 통계청 '2023년 맥류 재배면적조사 결과'에 따르면, 2023년 밀 재배면적은 11,600ha로 전년 8,259ha 대비 40.5%(3,341ha) 증가했다. 이에 따라 밀 자급률도 ‘21년 1.1%에서 2.0% 수준으로 크게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


국산밀 재배면적이 11천ha 이상을 넘은 경우는 2011년 13,044ha 이후 12년 만이다.


시도별로는 전북(4,618ha), 전남(4,572ha), 광주(1,133ha), 경남(658ha) 순으로 나타났다.


통계청은 밀 재배면적 증가 원인으로 ‘전략작물직불제’, ‘밀산업육성법’ 시행에 따른 농업인의 기대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했다.


농식품부는 국산밀 산업육성을 위해 2021년 ‘밀산업육성 5개년 기본계획’을 수립하여 추진 중이다.


국산밀 안정적 생산과 품질향상을 위해 △전문생산단지 조성(‘22, 51개소 →‘23, 73), △농기계․시설 등 시설·장비 지원(’22, 14개소 → ’23, 25), 정부비축 확대(‘22, 17천톤 → ’23, 20), △식품기업 제분·가공지원(‘22, 4천톤/16억원 → ’23, 5/20) 등을 추진하고 있다.


또한, 올해부터 식량자급률 제고와 쌀 적정생산을 위해 전략작물직불제를 시행하고 있으며, 콩·가루쌀과 함께 밀을 재배하는 농가에 ha당 250만원의 직불금을 지급한다.


농식품부는 식량자급률 제고를 위해 밀 재배면적을 연차적으로 늘려나가는 한편, 국산밀 소비저변 확대를 위한 품질관리기준 마련, 제분·가공 지원, 제품개발 및 소비촉진 등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는 등 국산밀 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을 더욱 확대한다는 방침이다.



포토

더보기